Node.js
Sequelize ORM
Sequeliz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설정들을 했으니, 이제는 DB 테이블에 매핑되는 모델들을 정의해보자
Model Mappings
각각의 모델은 models 폴더 아래 개별적으로 js 파일로 저장한다.
DataTypes
MySQL DB에서 쓰이는 Data Type은 Sequelize ORM에서 아래와 같이 제공한다.
MySQL DataTypes | Sequelize DataTypes |
---|---|
VARCHAR(100) | STRING(100) |
INT | INTEGER |
TINYINT | BOOLEAN |
DATETIME | DATE |
NOT NULL | allowNull: false |
UNIQUE | unique: true |
DEFAULT value | defaultValue: value |
이외에도 여러가지 DataType을 지원한다.
Sequelize Options
Options | Descriptions |
---|---|
sequelize | 생성한 Sequelize 객체를 전달한다 |
timestamps | 객체 생성 및 수정시 createdAt, updatedAt 컬럼을 자동적으로 추가하는 지 여부를 설정 |
underscored | java, javascript 와 객체지향형 언어에서는 기본적으로 camel case 방식으로 변수이름을 설정한다. 해당 옵션을 True로 설정하면 createdAt -> create_at 처럼 언더바 표기법으로 설정한다 |
modelName | 모델 이름을 지정한다 |
tableName | 테이블 이름을 지정한다. |
paranoid | 실제 DB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닌, deletedAt를 통해 삭제된 시각을 기록한다.이를 통해 나중에 삭제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
charset: ‘utf8’,collate: ‘utf8_general_ci’ | 해당 설정을 통해 한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이외에도 다양한 옵션들이 있다.
User
MySQL
CREATE TABLE USERS(
ID INTEGER AUTO_INCREMENT PRIMARY KEY,
SNS_ID VARCHAR(20),
PROVIDER VARCHAR(20),
NICKNAME VARCHAR(20) NOT NULL,
EMAIL VARCHAR(20),
PASSWORD VARCHAR(20)
)
위의 테이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아래와 같은 클래스를 구성해준다.
Model
const Sequelize= require('sequelize');
class User extends Sequelize.Model{
static init(sequelize){
return super.init(
{
id: {
type: Sequelize.INTEGER,
autoIncrement:true,
primaryKey:true
},
sns_id: {
type: Sequelize.STRING(20),
allowNull: true,
},
provider: {
type: Sequelize.STRING(20),
allowNull: true,
},
nickname: {
type: Sequelize.STRING(20),
allowNull: false,
},
email: {
type: Sequelize.STRING(20),
allowNull: true,
},
password: {
type: Sequelize.STRING(20),
allowNull: true,
},
},
{
sequelize,
timestamps: false,
underscored: false,
modelName: 'User',
tableName: 'Users',
paranoid: false,
char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
});
}
}
module.exports=User;
Relationship Mapping
테이블간의 연관관계는 어떻게 표현할까?
1:N, N:1 관계
1:N에 입장에서 보면 1에 속한 테이블은 여러 tuple 연관 있고, N의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tuple와 연관 있다.
1의 테이블은 hasMany 메소드를 정의하고, N 입장에서는 belongsTo 메소드를 정의해서 연관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Child 와 Parent 간의 테이블 관계를 표현해보면 아래와 같이 할 수 있다.
Parent
static associate(db) {
db.Parent.hasMany(db.Child, { foreignKey: 'parent_id', sourceKey: 'id', onDelete: 'cascade', onUpdate: 'cascade' });
}
Child
static associate(db) {
db.Comment.belongsTo(db.User, { foreignKey: 'parent_id', targetKey: 'id', onDelete: 'cascade', onUpdate: 'cascade'});
}
위와 같이 연관관계를 표현하면 된다.
Options | Description |
---|---|
foreignKey | 외래키를 지정해준다(보통의 경우 N 쪽에 외래키 존재) |
targetKey | 외래키에 대응되는 기본키 지정 |
onDelete | 연관관계에 있는 엔티티 삭제시 진행되는 로직 (NULL, CASCADE 값을 설정할 수 있다.) |
onUpdate | 연관관계에 있는 엔티 수정시 진행되는 로직 (NULL, CASCADE 값을 설정할 수 있다.) |
1:1 관계
1:1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hasOne 과 belongsTo 메소드를 사용한다.
M:N 관계
M:N 연관관계를 표현하게 되면, DB에서는 중간에 연결 엔티티를 생성해서 연결 엔티티를 이용해서 N:1, 1:N 관계 2개로 풀어낸다.
그래서 Sequelize 에서는 belongsToMany를 이용하게 되면 자동으로 연결 엔티티를 생성해서 연관관계를 맺어준다.
가령 Item 과 Category는 다대다 연관관계를 가지는데, 이를 sequelize로 표현하게 되면 아래와 같다
// Item
db.Item.belongsToMany(db.Category는, { through: 'ItemCategory' });
// Category는
db.Category는.belongsToMany(db.Item, { through: 'ItemCategory' });
위와 같이 through option에 연결 엔티티명을 명시해주면 자동으로 엔티티를 생성해준다.
Model Initialization
위와 같이 모델을 생성해주고 나면, 모델을 초기화 해주는 작업을 해야하는 이는 models/index.js 파일에서 진행하게 된다.
models/index.js
//모델 정보 추가
db.User=User;
db.Author=Author;
db.Topic=Topic;
//모델과 테이블 간 연결
User.init(sequelize);
Author.init(sequelize);
Topic.init(sequelize);
//연관관계 형성
Topic.associate(db);
Author.associate(db);
위와 같이 모듈에 모델 정보를 추가하고, 각각의 모델에 대해 init 함수 실행 및 연관관계를 이어주면 정상적으로 DB 연동 시 테이블이 생성된다.
CRUD
Sequelize ORM을 이용해서 DB에 쿼리를 하는 법을 알아보자 Sequelize에서는 DB에 fetch하는 작업 수행하기 때문에 query에 대한 return type이 Promise이다. 따라서, .then/.catch 나 async/await를 이용해서 Promise를 처리해야한다.
Attributes, Where 조건에 따른 쿼리 수행
쿼리에는 여러 옵션 값을 설정할 수 있는데, attributes을 이용해서 반환되는 컬럼의 종류를 명시할 수 있다.
where property를 추가하게 되면 조건에 따른 쿼리 수행이 가능하다.
const {User} user=require("../models");
const { Op } = require('sequelize');
const user=await User.findAll({
attributes: ['id','nickname','age'],
where:{
email:"user",
password:"1234",
age:{
[Op.gt]:30
}
}
})
SELECT ID, NICKNAME,AGE FROM USERS WHERE EMAIL="1234" AND PASSWROD = "1234" AND AGE >30
Operators
Operators | Description |
---|---|
Op.gt | 초과 |
Op.gte | 이상 |
Op.lt | 미만 |
Op.lte | 이하 |
Op.ne | 같지 않음 |
Op.or | 또는 |
Op.in | 리스트에 포함 여부 |
Op.notIn | 리스트 불포함 여부 |
Order by
order 속성을 추가해서 정렬을 수행 할 수 있다.
User.findAll({
order:[['ID','DESC'],['NICKNAME','ASC']]
});
SELECT * FROM USERS ORDER BY ID DESC, NICKNAME
Create
데이터를 넣기 위한 함수는 아래의 create를 이용한다.
Create
User.Create({
nickname:"user",
email:"user",
password:"1234"
}
).then().catch();
INSERT INTO USER(NICKNAME,EMAIL,PASSWORD) VALUES("user","user","1234");
findOrCreate
조회해서 없으면 추가하는 메소드도 있다.
User.findOrCreate({
where:{
email:email,
nickname:nickname,
password:password}
}).then((result)=>{
const user=result[0];
const isCreated=result[1];
if(isCreated){
}
else if(user){
}
}).catch((err)=>{
throw err;
});
findOrCreate에 추가한 where column에 있는 정보를 이용해서 테이블에서 row를 검색해서 없으면 해당 정보를 이용해서 엔티티에 추가한다.
findOrCreate의 반환하는 정보를 이용해서 create 되었는지, 조회가 정상적으로 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Read
조회 함수에는 2가지가 있다.
findAll
const {User} = require("../models");
const user=User.findAll({
where:{
}
}).then().catch
//async await을 이용해서 받을 수도 있다.
const user=await User.findAll({
})
SELECT * FROM USERS:
findAll을 이용하면 조건에 맞는 여러 개의 row가 반한된게 된다.
findOne
const {User} = require("../models");
const user=User.findOne({
where:{
}
}).then().catch
//async await을 이용해서 받을 수도 있다.
const user=await User.findOne({
})
SELECT * FROM USER LIMIT 1
findOne 수행 결과, 1개의 row만 반환된다.
Update
User.update({
email:"user1",
password:"1234567890"
},
{
where:{
id:1
}
}).then().catch();
UPDATE USER SET EMAIL="user1", PASSWORD="1234567890" WHERE ID=1
Update 함수를 이용해서 수정을 진행하며, 첫번째 인자에 수정하고자 하는 값을 전달하고, 두번째 인자를 통해 조건을 명시한다.
Delete
User.destroy({
where:{
id:1
}
})
User.destroy({
where:{
id:{
[Op:in]:[1,2,3]
}
}
})
DELETE FROM USERS WHERE ID=1;
DELETE FROM USERS WHERE ID IN (1,2,3);
Join Query
Topic class
static associate(db){
db.Topic.belongsTo(db.Author,{
foreignKey:"author_id",
targetKey:'id',
onDelete:'cascade',
onUpdate:'cascade'
});
};
Author class
static associate(db) {
db.Author.hasMany(db.Topic, {
foreignKey: 'author_id',
sourceKey: 'id',
onDelete: 'cascade',
onUpdate: 'cascade'
});
}
현재 Topics 테이블과 Authors 테이블은 N:1 연관관계가 맺어져 있다. 이때, Topic에 대한 join query를 하고자 하면 아래와 같이 includes 속성에 연관되어 있는 테이블을 명시한다.
include
Topic.findOne({
where:{id:1},
include:[{
model:Author,
required:true
}]
}).then().catch();
SELECT * FROM TOPIC INNER JOIN AUTHOR ON TOPIC.AUTHOR_ID=AUTHOR.ID WHERE TOPIC.ID=1;
위의 include 에 보면 required 속성이 있는 이를 true로 지정하면 INNER JOIN이 false로 지정하면 OUTER JOIN으로 수행된다.
getModel_Name
하나의 모델에 대해 getModel_Name을 이용해서 연관된 모델에 대한 조회를 수행할 수도 있다.
const author=await Author.findOne({
where:{
id:1
}
})
const topics= await author.getTopics();
위와 같이 getModel_Name 방식으로도 조인 쿼리를 수행할 수 있다.
sql query
ORM을 이용하지 않고 SQL문을 이용한 쿼리도 수행할 수 있다.
const [results,metadata]=await sequeilze.quert("SELECT * FROM USERS");
References
link: node.js
link: node.js doc
link: sequelize doc
댓글남기기